명의신탁에 있어 조세회피와 상관없는 뚜렷한 목적과, 당시에나 장래에 회피될 조세가 없다는 점을 입증하여야 함.  [부산지방법원 2016. 8. 18. 2015구합21262]

“`html

명의신탁 관련 증여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 조세 회피 목적 및 입증 책임

본 판례는 명의신탁 재산에 대한 증여세 부과 처분의 적법성을 다룬 사건으로, 명의신탁의 목적, 조세 회피 의도, 그리고 관련 증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 사건 개요

원고는 명의신탁을 통해 주식을 취득했으나, 과세관청은 이를 증여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원고는 명의신탁에 조세 회피 목적이 없었음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2. 쟁점: 명의신탁의 조세 회피 목적 유무 및 입증 책임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명의신탁이 조세 회피 목적 없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입니다. 관련 법률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2에 따르면, 명의신탁의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는 뚜렷한 다른 목적이 존재하고, 당시나 장래에 회피될 조세가 없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3.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주요 판단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3.1. 조세 회피 목적의 존재

법원은 원고가 단순히 명의를 도용당했다는 주장을 일방적인 행위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가 회사 감사로 재직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명의신탁이 조세 회피 목적과 무관한 뚜렷한 다른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3.2. 입증의 부족

법원은 원고가 명의개서 당시나 장래에 회피될 조세가 없었다는 점을 통상적인 사람이 의심을 가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4. 결론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을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명의신탁 관련 분쟁에서 조세 회피 목적의 유무를 입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5. 판례의 시사점

이 판례는 명의신탁 관련 소송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1. 조세 회피 목적이 없음을 입증하는 책임은 명의신탁을 주장하는 당사자에게 있습니다.

2.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3. 명의신탁의 목적, 당시 상황, 관련자들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판례 전문 확인하기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