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행위계산부인을 하며 시가를 업종별 평균 부가가치율에 의해 산정한 것은 위법함 [서울고등법원 2019. 1. 31. 2018누54578]
부당행위계산 부인 관련 판례 분석: 의류 제조, 시가 산정의 위법성
h3. 사건 개요
본 판례는 원고(김AA 등)가 피고(○○세무서장 등)를 상대로 제기한 종합소득세 및 부가가치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의 항소심 판결이다. 주요 쟁점은 부당행위계산 부인 및 시가 산정의 적법성 여부, 그리고 관련 가산세 부과의 적정성이다. 원고는 의류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며, 세무 당국은 부당행위계산을 통해 소득을 재산정하고 세금을 부과했다.
h3. 쟁점 및 판단
h4. 부당행위계산 부인과 시가 산정의 위법성
원고 회사가 대표자인 원고 김AA에게 공급한 거래와 관련하여 부당행위계산 부인을 적용하고, 시가를 의류제조업 평균 부가가치율을 사용하여 산정
법원은 의류제조업 평균 부가가치율이 특정 의류의 처분가액을 산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시가 산정의 위법성을 판단
h4. 관련 법령 및 근거
-
법인세법 제52조:
부당행위계산 부인에 관한 근거를 제공한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52조:
시가 불분명 시 평가 방법 제시.
-
세무 당국은 시가 불분명 시 준용되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을 따르지 않고, 업종 평균 부가가치율을 임의로 적용하여 위법
h4. 판결 결과 및 파장
원고 회사에 대한 법인세 부과처분 중 B-1거래 관련 부분 및 부가가치세 부과처분 중 B거래 관련 부분이 취소
h3. 결론
본 판례는 부당행위계산 부인 시 시가 산정의 적정성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한다. 세무 당국이 업종 평균 부가가치율과 같은 임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시가를 산정하는 것은 위법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는 과세 행정의 적법성 확보와 납세자의 권익 보호에 기여하는 판례로 평가된다.
부당행위계산 부인, 시가 산정, 업종 평균 부가가치율, 위법, 법인세, 부가가치세, 조세, 판례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