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청구에 따라 지급한 금원이 매입세액 공제대상인지 여부 [서울행정법원 2022. 5. 24. 2021구합75665]
“`html
부가 손해배상 청구 관련 부가가치세 공제 여부
본 판례는 부가 손해배상 청구에 따라 지급된 금원이 매입세액 공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서울행정법원 2021구합75665 판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 개요
원고는 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하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패소하여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는 해당 손해배상금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해 간접적으로 하자보수를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므로 매입세액 공제를 주장하며 부가가치세 경정청구를 제기했으나, 과세관청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판결 내용
주요 쟁점
본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해배상금의 부가가치세 포함 여부
매입세액 공제 가능성
판결 요지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판결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해배상금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 대가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님
원고는 하자보수 용역을 직접 제공받지 않았으며, 세금계산서도 발급받지 않았으므로 매입세액 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대법원 판례(2017다217175, 217182)에서 언급된 부가가치세 관련 내용은 하자보수 용역을 직접 제공받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 사건과는 관련 없음
판결의 근거
판결의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가가치세법 제29조 제1항 및 제3항: 공급가액의 정의 및 범위
- 부가가치세법 제38조 제1항 제1호: 매입세액 공제 요건
- 부가가치세법 제39조 제1항 제2호: 세금계산서 미발급 시 매입세액 불공제
- 대법원 판례 (1984. 3. 13. 선고 81누412, 1997. 12. 9. 선고97누15722): 위약금 및 손해배상금의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결론
본 판례는 손해배상금 지급과 관련된 부가가치세의 공제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손해배상금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 대가로 볼 수 없으며, 관련 세금계산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 매입세액 공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