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불속행)사해행위 해당 여부 [대법원 2020. 5. 14. 2020다207598]
국세징수법상 사해행위 취소 소송 판례 분석 (대법원 2020다207598)
이 글에서는 국세징수법과 관련된 사해행위 취소 소송 판례인 대법원 2020다207598 판결을 분석합니다. 해당 판례는 국세 체납자의 재산 처분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
- 사건 번호: 2020다207598
- 사건명: 사해행위취소
- 원고 (상고인): 대한민국
- 피고 (피상고인): 박○○
- 원심 판결: 광주고등법원 2020. 1. 8. 선고 2019나20725 판결
- 판결 선고일: 2020.05.14
쟁점
본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체납자와 피고 사이의 부동산 매매 계약 및 현금 증여 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 체납자가 자신의 행위가
일반 채권자들을 해하는 것임을 알았는지 (채무자의 악의)
-
수익자인 피고의 악의 인정 여부
원심 (광주고등법원) 판단 요지
원심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 체납자와 피고 사이의 부동산 매매 계약 및 현금 증여 계약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
- 체납자는 자신의 이러한 행위가 일반 채권자들을 해하는 것임을 알았다고 볼 수 있다.
- 수익자인 피고의 악의가 인정되므로 부동산 매매 및 현금 증여 계약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
대법원 판단
대법원은 원심 판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 상고를 기각한다.
- 상고 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대법원은 상고인의 상고 이유에 관한 주장이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각 호에 정한 사유를 포함하지 않거나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본 것입니다.
관련 법령
- 국세징수법 제30조 (사해행위의 취소)
시사점
본 판례는 국세 체납자의 재산 처분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체납자의 악의 및 수익자의 악의 인정 여부가 핵심적인 판단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국세 체납자의 재산 처분 행위가 있는 경우,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통해 국세 채권을 확보할 수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