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주 명의신탁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안양지원 2016. 12. 9. 2015가단113710]
국세징수법상 사해행위 취소 소송: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의 효력 (안양지원 2015가단113710 판례 분석)
본 판례는 국세징수법 제30조를 근거로, 채무자의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를 다룹니다. 1심 판결이며, 2016년 12월 9일에 선고되었습니다.
1. 사건 개요
이 사건은 채무자 이○○이 자신의 전 남편인 피고 명의의 계좌로 아파트 매도대금을 입금한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원고는 대한민국, 피고는 정○○입니다.
2. 주위적 청구 기각 및 예비적 청구 인용
- 주위적 청구: 증여 계약을 주장하였으나 기각되었습니다.
- 예비적 청구: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을 주장하여 인용되었습니다.
3. 주요 쟁점 및 판결 내용
3.1. 증여 계약 성립 여부
판단: 채무자와 피고 사이에 증여 계약이 있었다는 증거가 부족하여, 주위적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3.2.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의 성립 및 사해행위 해당 여부
판단:
채무자와 피고 사이에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이 체결되었다고 보았습니다.
무자력 상태의 채무자가 피고 계좌로 매도대금을 입금하게 한 것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로 인해 예금주 명의신탁 약정은 취소되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3.3. 원상회복 방법
판단: 피고가 계좌 예금 대부분을 인출하여 사용한 ‘특별한 사정’이 있으므로, 가액배상으로 원상회복을 명했습니다.
4. 판결의 의의
본 판례는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이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채무자가 무자력 상태에서 자신의 자금을 타인 명의 계좌로 이전하는 행위는 사해행위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5. 관련 법리
- 사해행위: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자신의 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
- 명의신탁: 타인 명의로 재산을 소유하는 계약
- 국세징수법 제30조: 사해행위 취소 관련 규정
- 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2다30861 판결: 증여 계약 관련 법리 제시
- 대법원 2015. 7. 23. 선고 2014다212438판결: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의 원상회복 방법 제시
6. 결론
안양지원 2015가단113710 판례는 채무자의 예금주 명의신탁 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함을 인정하고, 가액배상을 명한 사례입니다. 이 판례는 채권자 보호를 위한 사해행위 취소 소송의 중요한 판례로, 관련 법리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