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가 받은 손해배상금이 양도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울행정법원 2019. 9. 24. 2018구단76067]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 서울행정법원 판례 분석
사건 개요
2010년 귀속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가 받은 손해배상금이 양도소득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서울행정법원은 2019년 9월 24일 판결을 통해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쟁점 및 판단
원고의 주장
원고는 이 사건 매매계약이 토지거래계약 허가를 받지 못해 유동적 무효 상태였고, 손해배상금은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다음의 근거를 토대로 원고가 이 사건 토지지분의 양도소득을 얻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
이 사건 토지 지분 수용 보상금은 이○○에게 귀속
-
원고가 받은 배당금 및 지급금은 별개의 권원에 의해 지급
판결 내용 상세
1. 처분 경위
- 원고는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대금을 지급했지만, 토지거래 허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 이후 토지가 수용되었고, 원고는 근저당권에 기한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여 배당금을 받았습니다.
- 또한 임○으로부터 손해배상금(지급금)을 받았습니다.
- 피고는 손해배상금을 양도소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 조세심판원은 미등기 양도자산 중과세율 적용은 잘못이라고 결정했고, 피고는 세액을 감액했습니다.
- 이 사건 처분은 감액 후 남은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입니다.
2. 쟁점 및 법원 판단
-
양도소득세 과세 요건
자산의 양도로 인한 소득에 과세하며, 양도는 유상 이전(매도, 교환 등)을 의미합니다.
-
토지거래 허가 전 토지 수용의 경우
대금을 지급하고 사실상 소유권을 행사하는 상태에서 수용되어 매도인이 등기를 회복할 수 없고 매수인이 이득을 얻으면 양도소득세 부과가 가능합니다.
-
법원의 판단 근거
- 이 사건 토지 지분은 원고에게 유상 이전되어 원고가 사실상 소유권을 행사하는 상태에서 수용된 것으로 볼 여지가 있습니다.
- 하지만, 수용보상금은 이○○에게 지급되었고, 원고는 수용 과정에서 보상금 수령 권한을 위임받거나 사실상 지배권을 행사하지 않았습니다.
- 원고가 받은 배당금 및 지급금은 별개의 권원에 의해 지급된 것이므로 이 사건 토지지분 수용으로 인한 양도소득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3. 결론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여 이 사건 처분을 취소했습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