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건 세무조사가 절차적 하자가 있는지 여부 [서울고등법원 2018. 12. 12. 2017누76175]
상속 증여세 관련 세무조사 절차의 적법성 및 증여세 부과 처분
2심 판결 요약
서울고등법원 2017누76175 판례는 상속 및 증여세 관련 세무조사의 절차적 하자와 증여세 부과 처분의 적법성을 다루었습니다. 2013년 귀속분 사건으로, 2심에서 원고의 항소가 기각되었습니다.
1. 사건 개요
본 사건은 증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와 관련된 세무조사의 적법성 및 증여세 부과 처분의 타당성을 다룹니다. 원고는 세무조사의 절차적 하자를 주장하며, 부과된 증여세의 취소를 구했습니다.
2. 쟁점 및 판단
가. 절차적 하자 여부
1) 세무조사 유형
원고는 이 사건 세무조사가 수시조사가 아닌 정기선정에 의한 조사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국세기본법 제81조의6 제3항 제4호에 근거한 비정기 세무조사로 판단했습니다.
2) 세무조사 선정 사유
원고는 가공 인건비 계상 혐의가 적법한 세무조사 사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관련 분석 보고서의 증명력을 인정하여 세무조사 선정 사유로 인정했습니다.
3) 세무조사 절차
원고는 세무조사 사전통지 미흡, 장부 일시 보관 방식, 세무조사 기간의 적절성 등을 문제 삼았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증거인멸 우려, 장부 일시 보관의 적법성, 관련 법규에 따른 세무조사 기간 등을 근거로 절차적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4) 동시조사 및 통지
원고는 동시조사 대상에 대한 통지 미흡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원고가 관련인에 해당하고, 사전 통지 생략의 정당성을 인정했으며, 통지 절차 역시 적법하게 이루어졌다고 판단했습니다.
5) 중복조사 금지 위반 여부
원고는 중복조사 금지 위반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동일 시기에 이루어진 세무조사가 중복조사에 해당하지 않으며, 별도의 세무조사가 없었다고 판단했습니다.
6) 세무대리인 통지
원고는 세무대리인에게 통지한 것이 절차상 위법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세무대리인 신고 사실을 확인하여 절차상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7) 세무조사권 남용 여부
원고는 소외 회사가 아닌 제3자와 관련된 혐의로 소외 회사를 세무조사 대상으로 선정한 것이 세무조사권 남용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관련인에 대한 동시조사의 적법성을 근거로 세무조사권 남용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나. 실체적 하자 여부
1) 증여세 규정 해석
원고는 신주인수권 포기자에 대한 특수관계인 해석이 실질과세원칙에 반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불균등 증자로 인한 부의 무상이전을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적법하며, 신주인수권 행사가 제한되는 것은 간접적인 효과일 뿐이라고 판단했습니다.
2) 순이익 산정 방법
원고는 순이익 산정 방법이 기업회계존중의 법리에 따르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규정에 따라 순손익가치를 산정하는 것이 적법하며, 기업회계 기준과는 별개라고 판단했습니다.
3) 특수관계인 및 증여의제 이익
원고는 BBB과의 관계, 주식 보유 비율, 양도 합의 등을 근거로 증여의제 이익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원고와 BBB이 특수관계인에 해당하고, 양도 합의는 조건부이므로 증여의제 이익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3. 결론
서울고등법원은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즉, 세무조사의 절차적 하자가 없고, 증여세 부과 처분 또한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