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건 제2주택은 이 사건 양도주택 양도 당시 장기임대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므로 원고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대상이 아님 [서울행정법원 2020. 4. 14. 2019구단64771]
양도소득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판례 분석 (서울행정법원 2019구단64771)
사건 개요
본 사건은 원고가 제기한 양도소득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으로, 쟁점은 원고가 양도한 주택이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원고 배우자가 소유한 다른 주택이 1세대 1주택 판정 시 주택 수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해당 주택이 장기임대주택으로서 주택 수에서 제외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며, 피고의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요 판단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 사건 아파트의 업무용 부동산 해당 여부: 원고는 배우자 소유의 아파트가 법인의 직원 기숙사 등 업무용 부동산으로 사용되었으므로 주택 수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해당 아파트가 회계장부에 업무용 자산으로 등재되어 있지 않고, 임대사업자 등록 후 임대소득을 얻고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
장기임대주택 해당 여부: 원고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주택을 매각하고 아파트로 거주를 이전하기 위해 임대를 종료했으므로, 해당 아파트는 장기임대주택으로서 주택 수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소득세법상 장기임대주택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양도일 현재 임대 중이어야 한다
고 판단했습니다. 원고의 경우 양도 전에 임대를 종료했으므로, 장기임대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관련 법령
- 소득세법 제89조 (비과세 양도소득)
- 소득세법 제155조 (1세대 1주택의 특례)
- 소득세법 제168조 (사업자등록)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1세대 1주택의 범위)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1세대 1주택의 특례)
-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3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 (민간임대주택의 등록)
시사점
본 판례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판단 시 주택 수 산정 기준, 특히 업무용 부동산 및 장기임대주택의 요건 충족 여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른 요건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특히 장기임대주택의 경우 양도 시점까지 임대 요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함을 강조합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