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취득에 소요된 자금을 일일이 제시하지 못한다고 하여 곧바로 그 취득자금을 증여받은 것으로 추정할 수 없음 [서울행정법원 2019. 12. 10. 2018구합58127]
상속세 및 증여세 관련 판례 분석: 자금 출처 불분명과 증여 추정의 관계
사건 개요
본 판례(서울행정법원 2018구합58127)는 피고(BB세무서장)가 원고(AAA)에게 부과한 증여세 부과처분의 적법성을 다투는 사건입니다. 쟁점은 원고의 재산 취득 자금 출처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증여로 추정하여 과세한 처분이 정당한지 여부입니다.
쟁점 사항
- 재산 취득 자금의 출처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 곧바로 증여로 추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2조, 제4조, 제45조, 제45조의2의 해석 및 적용
법원의 판단
법원은
재산 취득에 소요된 자금을 일일이 제시하지 못한다고 하여 곧바로 그 취득자금을 증여받은 것으로 추정할 수 없다
고 판시하며, 피고의 증여세 부과처분을 취소했습니다.
판결 이유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판결했습니다.
- 증여세 과세 요건 충족 여부: 과세관청은 증여 사실 및 가액을 입증해야 하며, 단순히 자금 출처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이유만으로 증여 사실이 추정되는 것은 아님.
- 합리적인 의심 해소 여부: 원고가 자금 출처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을 해소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관청이 이를 간과함.
- 증여 추정의 남용 방지: 자금 출처 불분명을 이유로 광범위하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될 소지가 있음.
관련 법령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2조 (증여세 과세대상)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4조 (증여세 납세의무자)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45조 (재산취득자금 등의 증여추정)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45조의2 (명의신탁재산의 증여의제)
시사점
본 판례는 재산 취득 자금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만으로 섣불리 증여로 추정하여 과세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과세관청은
증여 사실 및 가액을 입증할 책임
이 있으며, 납세자는 자금 출처에 대한 합리적인 소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