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부과처분취소 [수원지방법원 2019. 1. 22. 2018구합60138]
“`html
상속증여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판례 정리
본 판례는 증여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에 대한 수원지방법원의 판결을 정리한 것입니다. 원고는 증여세 부과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1. 사건 개요
사건번호: 2018구합60138
사건명: 증여세부과처분취소
원고: 전**
피고: 이천세무서장
판결일: 2019.01.22.
2. 쟁점 및 원고의 주장
2.1. 쟁점
본 소송의 주요 쟁점은 이 사건 금원(37억 3,000만 원)이 원고에게 증여된 것인지 여부와 증여세 부과 처분의 적법성입니다. 원고는 해당 금원이 문**과의 동업, 손해 보전, 또는 합의에 의한 지급으로, 증여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2.2. 원고의 주장 요약
원고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 이 사건 금원 중 5억 원은 문**이 원고의 손해를 보전하기 위해 대납한 돈이다.
– 나머지 돈은 문**이 원고와 김치공장 사업을 동업하기 위해 출자한 출자금이다.
– 이후, 원고가 문**의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형사고소 사건의 항고를 포기하기로 합의하면서 손해배상금으로 지급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설령 증여로 보더라도 증여일, 증여 대상 물건의 과세표준 등이 불명확하여 무신고 가산세,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는 위법하다.
3. 법원의 판단
3.1. 증여 추정 및 증명 책임
법원은 과세관청에 의해 증여자로 인정된 자 명의의 예금이 인출되어 납세자 명의의 예금계좌 등으로 예치된 사실이 밝혀진 이상, 그 예금은 납세자에게 증여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따라서, 증여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행해졌다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이에 대한 증명 책임은 납세자에게 있습니다.
3.2. 각 주장에 대한 판단
법원은 원고의 각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3.2.1. 손해 보전 의무 여부
원고가 S** 빌딩 관련 계약 해제로 손해를 입었더라도, 문**에게 이를 보전해 줄 법적 의무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해당 주장은 이유 없습니다.
3.2.2. 동업 계약 여부
법원은 원고와 문** 사이에 동업 계약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동업 계약의 본질적인 내용(출자, 지분율, 수익금 정산 등)에 대한 합의가 없었고, 원고의 김치공장 사업 관련 지출은 자신 소유 부동산 관련 필요에 따른 것으로 보일 뿐 동업 약정에 의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
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또한, 증거 자료의 신빙성 부족과 주장 변경의 일관성 부족도 지적했습니다.
3.2.3. 손해 배상금 지급 합의 여부
법원은 원고가 문**의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형사고소 항고를 포기하는 조건으로 32억 3,000만 원을 손해배상금으로 지급받기로 했다는 주장에 대해 객관적인 증거가 없고, 손해배상금액이 과다하다는 점을 들어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3.2.4. 증여일 및 가산세 부과 적법성
법원은 이 사건 금원을 별지1 기재와 같은 날에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각 해당 일자가 증여일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에게 증여세를 납부하지 않을 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가산세 부과도 적법하다고 보았습니다.
4. 결론
결론적으로,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을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즉, 이 사건 금원이 원고에게 증여된 것으로 보고, 증여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는 판결입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