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납세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그 소유의 부동산을 피고에게 증여를 원인으로 하여 이전한 것은 사해행위에 해당함. [창원지방법원 2019. 12. 12. 2019나52291]
사해행위 취소 소송 판례 분석: 국세 체납과 부동산 증여 (창원지방법원 2019나52291)
사건 개요
본 판례는 국세 체납자가 체납 세액이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부동산을 타인에게 증여한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원고)은 강** (피고)을 상대로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 판단 (요지)
체납 세액이 존재하는 체납자가 채무 초과 상태에서 자신의 부동산을 피고에게 증여를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을 이전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사해행위에 해당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령
- 국세징수법 제30조
판결 내용 상세
1심 판결 인용
2심(항소심) 재판부는 1심 판결의 이유를 인용하여 판단 근거로 삼았습니다.
결론
법원은 피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의 청구를 인용했습니다. 1심 판결의 별지 목록은 2심 판결의 별지 목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이정순과 피고 사이의 부동산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피고는 이정순에게 해당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말소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주문
-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 당심에서의 청구취지 정정에 따라, 제1심 판결의 별지 목록을 이 판결의 별지 목록으로 경정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이정순과 피고 사이의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에 관한 2016. 11. 14.자 증여계약을 취소한다. 피고는 이정순에게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ㅇㅇ지방법원 ㅇㅇ지원 2016. 11. 15. 접수 제DDDDD호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2.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