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매수인이 농업법인을 거쳐 양수자에게 매도하였으나 실질은 매수인이 직접 양수인에게 매도한 것에 해당함 [제주지방법원 2020. 1. 22. 2018구합5646]
양도소득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판례 분석: 농업법인 현물출자와 실질과세 원칙
사건 개요
원고는 토지를 매수 후 농업회사법인에 현물출자하고, 해당 법인이 다시 제3자에게 토지를 매도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과세당국은 이러한 거래를 원고가 직접 제3자에게 토지를 매도한 것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부과했고, 이에 원고는 부과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사항
- 농업회사법인을 거친 토지 양도가 실질적으로 원고의 직접 양도에 해당하는지 여부
- 국세기본법상 실질과세 원칙 적용의 타당성
- 처분사유 추가의 적법성 여부
법원의 판단
실질과세 원칙 적용의 타당성
법원은 원고가 농업회사법인을 통해 토지를 양도한 행위가 실질적으로 원고가 직접 제3자에게 토지를 매도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 및 사정에 근거합니다.
- 매매계약 체결 전 중도금 지급 사실
- 원고의 조세 회피 목적
- 농업회사법인의 설립 목적과 관련 없는 토지 매각
- 법인의 지배구조 및 자금 사용 내역
따라서 법원은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에 따라 경제적 실질 내용에 따라 원고가 직접 토지를 양도한 것으로 본 과세당국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처분사유 추가의 적법성
원고는 과세관청이 당초 현물출자를 대상으로 처분했다가 소송 중 실질적인 양도를 처분사유로 추가한 것은 위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과세처분취소소송의 소송물은 정당한 세액의 객관적 존부이므로 처분의 동일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처분사유를 교환·변경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양도자산이 동일하므로 처분의 동일성은 유지된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판결의 의미
본 판결은 조세 회피 목적의 형식적인 거래에 대해 실질과세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한 사례입니다. 특히 농업회사법인을 이용한 조세 회피 시도에 대해 법원은 경제적 실질을 중시하여 과세의 정당성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유사한 사례에서 과세당국의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납세자의 조세 회피 행위를 방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