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상속인이 납부할 세액에 대한 상속인의 납세의무와 한도 [서울행정법원 2021. 1. 22. 2019구합90388]
“`html
종소 피상속인 납부 세액에 대한 상속인의 납세의무와 한도 – 서울행정법원 판례
본 판례는 종소 피상속인이 납부해야 할 세액에 대한 상속인의 납세의무 범위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 내에서 납세의무를 지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
- 사건번호: 서울행정법원 2019-구합-90388
- 귀속년도: 2011년
- 심급: 1심
- 선고일자: 2021년 1월 21일
판결 요지
피상속인에게 부과해야 할 세액을 상속인에게 그대로 승계하여 부과·고지한 것은 부과·징수 절차상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로 인해 당연 무효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를 초과하여 납세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적법하지 않다
판결 내용 상세
1. 사건의 배경
피고는 피상속인의 사망 후 상속인에게 피상속인의 종합소득세를 경정·고지했습니다. 그러나 상속인은 상속 한정 승인을 했고, 상속재산보다 부채가 더 많아 상속받은 재산이 없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2. 쟁점
이 사건의 쟁점은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세금을 납부할 의무가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로 제한되는지 여부
입니다. 또한, 과세관청이 상속인에게 납세의무를 부과할 때 상속 재산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하는지 여부도 중요한 쟁점이 되었습니다.
3. 법원의 판단
법원은
상속인은 상속으로 얻은 재산의 한도 내에서 피상속인의 세금을 납부할 의무가 있다
고 판시했습니다. 과세관청은 상속인에게 세금을 부과할 때 상속 재산을 기준으로 세액을 결정하고 고지해야 하며, 상속 재산의 범위를 입증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과세관청이 상속인에게 피상속인의 종합소득세 전액을 고지하고, 상속 재산의 한도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이는 부과·징수 절차상 중대한 하자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4. 결론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여 이 사건 처분이 무효임을 확인했습니다.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이 판례는 상속세 관련하여
상속인의 납세의무 범위가 상속받은 재산의 한도 내로 제한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과세관청은 상속인에게 세금을 부과할 때 상속 재산의 범위를 정확하게 산정하고, 이를 납세고지서에 명시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상속세 관련 분쟁에서 상속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과세관청의 세무 행정의 적법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