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해제는 조세의 회피를 목적으로 한 통정허위이거나 별도의 새로운 계약임 [대전지방법원 2018. 6. 28. 2018구단130]
양도 합의해제 관련 판례: 조세 회피 목적의 통정허위 또는 별도의 새로운 계약
본 판례는 양도 합의해제가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한 통정허위행위 또는 별도의 새로운 계약으로 판단된 사례를 다룹니다. 대전지방법원에서 2018년에 판결되었으며, 2014년 귀속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에 대한 취소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사례입니다.
1. 사건 개요
원고의 배우자인 망 AAA는 2014년에 토지를 양도하고 양도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피고는 이에 따라 2017년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망인은 이후 매매계약을 합의해제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했으나, 법원은 이러한 합의해제가 조세 회피 목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2. 주요 사실관계
- 2014년: 망인은 토지를 매도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완료했으나,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음.
- 2017년: 피고는 망인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 (이 사건 처분).
- 2017년: 망인은 매매계약을 합의해제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함 (이 사건 처분 직후).
3. 법원의 판단
3.1. 쟁점
합의해제의 효력과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의 적법성 여부.
3.2. 판결 요지
이 사건 매매계약의 효력을 소급하여 소멸시켜야 할 객관적인 사유가 없음에도, 소유권이전등기일로부터 2년 8개월이 지난 시점에 이루어진 합의해제는 조세의 회피를 목적으로 한 통정허위이거나 별도의 새로운 계약으로 판단했습니다.
3.3. 판결 근거
합의해제는 당사자 간의 새로운 약정에 의해 계약의 효력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의 존부를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는 합의해제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했고, 소급하여 계약을 소멸시킬 만한 사유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합의해제가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4. 결론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피고의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