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기산일 [서울고등법원 2024. 12. 6. 2024누48352]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기산점: 국승 서울고등법원 판례 분석
1. 사건 개요
본 판례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 적용에 있어 주택 보유 기간의 기산점을 다투는 사건입니다. 원고들은 다주택자에서 2주택자가 된 후, 1주택을 양도하면서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보유 기간 기산점을 다르게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기각했습니다.
2.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을 위한 주택 보유 기간의 기산점을 언제로 볼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다주택자가 일부 주택을 처분하여 2주택자가 된 경우, 남은 주택의 보유 기간을 최초 취득 시점부터 계산할 것인지, 아니면 2주택자가 된 시점부터 계산할 것인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3. 원고의 주장
원고들은 이 사건 주택의 취득일부터 보유 기간을 기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제5항 단서의 예외 조항에 해당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4. 피고(과세관청)의 처분 및 법원의 판단
피고는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제5항 단서에 따라 직전 양도주택 처분일을 보유 기간 기산일로 보아 원고의 감액경정청구를 거부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5. 법원의 판단 근거
- 조세법률주의 및 엄격 해석: 조세 관련 법규는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명백한 특혜 규정은 더욱 엄격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 다주택자 관련 개정: 2019년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다주택자에 대한 비과세 요건이 강화되었습니다.
- 형평성 및 불합리한 결과 방지: 다주택자가 일부 주택을 처분하여 2주택자가 된 경우, 1주택자의 취득일로 보유 기간을 기산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고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일시적 1세대 2주택 예외 규정: 소득세법상 일시적 1세대 2주택에 대한 예외는 엄격한 요건 하에서만 인정해야 합니다.
- 관련 법령의 취지: 1세대 2주택 비과세 특례 규정은 주거 안정을 위한 것이므로, 투기 목적의 다주택자에 대한 비과세 적용은 제한해야 합니다.
6. 결론
법원은 원고들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이 판결은 다주택자가 주택을 처분하여 2주택자가 된 경우,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을 위한 보유 기간의 기산점을 2주택자가 된 시점부터 계산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