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1주택 산입에 들어가지 않는 임대주택은 소득세법상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어야 함 [서울행정법원 2018. 7. 4. 2017구단81550]
“`html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임대주택의 사업자등록 중요성 (국승 서울행정법원 2017구단81550)
본 판례는 2016년 귀속 소득세 관련 사건으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한 임대주택 요건 중 소득세법상 사업자등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판결은 특히 장기 임대주택의 비과세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사업자등록의 필수 요건 충족 여부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
원고는 2016년 7월 25일 서울 양천구 신정동 소재 아파트를 양도하고 양도소득세를 자진 신고·납부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배우자가 소유한 임대주택이 장기임대주택에 해당한다며 비과세 감액경정을 청구했으나, 세무서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본 사건의 핵심 쟁점은 배우자 소유의 임대주택이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9항에 따른 ‘장기임대주택’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장기임대주택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소득세법상 사업자등록 및 민간임대주택 등록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법원의 판단
주요 내용
법원은 배우자 소유의 임대주택이 소득세법 제168조에 따른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았으므로 ‘장기임대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 근거
-
문언 해석의 중요성: 법원은 관련 법령의 문언에 따라 장기임대주택의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즉, 사업자등록, 민간임대주택 등록 및 임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확장 해석의 불허: 원고는 임대사업자 등록, 분리과세 대상 임대소득만 존재한다는 점을 들어 장기임대주택 요건의 완화를 주장했으나, 법원은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비과세 요건을 확장 해석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사업자등록의 목적: 법원은 소득세법상 사업자등록은 과세관청의 납세의무자 및 사업 내용 파악, 근거 과세, 세수 확보 등을 위해 필요하며, 임대사업법에 따른 등록과는 목적과 취지가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결론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을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요건을 정확히 충족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시사점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임대주택의 경우 소득세법상 사업자등록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임대주택 관련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없으므로, 관련 법규 및 판례를 꼼꼼히 확인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