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한 기계장치에 대한 제3자의 소유권주장 [대구지방법원 2018. 5. 2. 2017구합24372]
“`html
국세 압류 기계장치에 대한 제3자 소유권 주장 – 대구지방법원 2017구합24372 판례 분석
본 판례는 국세 압류된 기계장치에 대해 제3자가 소유권을 주장하는 경우, 그 소유권 주장의 입증 책임 및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객관적인 소유 입증이 부족할 경우 점유자의 소유로 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1. 사건 개요
1.1. 사건번호 및 관련 정보
- 사건번호: 대구지방법원 2017구합24372
- 귀속년도: 2017
- 심급: 1심
- 선고일: 2018. 05. 02.
- 진행상태: 완료
1.2. 원고 및 피고
- 원고: 주식회사 ○○
- 피고: ○○세무서장
1.3. 청구 취지
피고가 2017. 7. 25. 별지 1 목록 기재 동산(CO2 와이어 용접봉 기계장치, 이하 ‘이 사건 기계장치’라고 한다)에 대하여 한 압류처분은 무효임을 확인
2. 사실관계 및 쟁점
2.1. 처분 경위
AAA 주식회사(이하 ‘AAA’라고 한다)는 체납세액 발생으로 인해 피고에 의해 기계장치가 압류되었습니다.
2.2. 원고의 주장
원고는 강제경매절차를 통해 이 사건 기계장치를 매수하여 AAA에게 매도하였으나, AAA가 대금을 완납하지 못하여 권리를 포기했으므로, 압류는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2.3. 쟁점
압류된 기계장치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가, 즉 제3자(원고)에게 소유권이 있는지를 입증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3. 법원의 판단
3.1. 관련 법리
국세징수법 제24조에 따라, 압류는 납세자의 재산에 한정됩니다. 제3자 소유의 재산에 대한 압류는 무효입니다. 행정소송에서 무효를 주장하는 측(원고)이 그 사유를 입증해야 합니다.
3.2. 소유권 인정 여부
법원은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이 사건 기계장치가 원고의 재산임을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객관적인 증거 부족, 계약서의 의심스러운 정황, AAA의 점유 및 사용, 관련 법적 절차 미준수 등 다양한 사유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고의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 원고의 2016년도 법인세 결산 시 기계장치가 유형자산에 포함되지 않은 점
- 매매계약서의 인감, 계좌, 특이한 계약 조건 등
- AAA가 기계장치를 점유하고 사용한 점
- 제3자 소유권 주장 관련 절차(국세징수법 제50조)를 원고가 준수하지 않은 점
결론적으로,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을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3.3. 판결의 의미
본 판례는 국세 압류 사건에서 제3자 소유권 주장의 어려움을 보여줍니다. 특히, 객관적 증거, 계약의 진정성, 점유 상황, 관련 법적 절차 준수 여부 등 다각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유권을 판단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