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본점 지방 이전 주택신축판매업 법인의 양도차익 과세 문제
1. 사건 개요
본 판례는 법인 본점을 지방으로 이전한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의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사건번호: 대전고등법원 2014누12824
- 귀속연도: 2006년
- 심급: 2심
- 생산일자: 2015년 6월 25일
- 진행상태: 완료
2. 사실관계
원고는 주택건설업 등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본점을 지방으로 이전한 후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며 세액 감면을 신청했습니다.
- 원고는 2005사업연도 법인세를 신고하면서, 구 조세특례제한법(이하 ‘구 조특법’) 제63조의2에 따른 임시특별세액감면을 신청했습니다.
- 피고는 원고가 신고한 주택부수토지의 범위를 제한하여 양도차익을 감면대상과세표준에서 제외하고 법인세를 경정·고지했습니다.
-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제기했으나, 일부 기각되었습니다.
3. 쟁점
주된 쟁점은 주택신축판매법인이 본점을 지방으로 이전한 경우, 양도차익 감면 대상이 되는 토지의 범위를 어떻게 산정할 것인가 입니다.
- 구 조특법 시행령 제60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건물이 정착된 면적의 5배를 곱하여 산정한 면적만을 인정할 것인지,
- 원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주택의 연면적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지 여부
- 신뢰보호의 원칙 및 형평의 원칙 위배 여부
- 가산세 부과처분의 적법성 여부
4. 법원의 판단
4.1 본세 부분
법원은 피고가 건물이 정착된 면적의 5배를 곱하여 산정한 면적만을 인정하고 초과하는 면적에 관한 양도차익을 감면대상과세표준에서 제외한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조세법규는 법문대로 해석해야 하며, 합리적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신뢰보호의 원칙이 적용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는 과세관청의 공적인 견해표명이 있었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 구 조특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원고의 경우 2002년 시행 조특법 및 시행령이 적용되며, 법인세법 시행령을 준용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4.2 가산세 부분
법원은 가산세 부과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원고가 세법을 부지하거나 오해한 것은 가산세 납부를 면할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 납세고지서에 가산세의 종류, 세율 등 산출근거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가산세 부과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5. 결론
법원은 원고의 항소를 일부 받아들여 가산세 부과처분 부분을 취소하고, 나머지 부분은 기각했습니다.
- 피고가 한 법인세 부과처분 중 가산세 부분은 위법하여 취소
- 원고의 나머지 항소는 기각
6. 시사점
본 판례는 법인세 감면 규정 적용에 있어 관련 법령의 정확한 이해와 적용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 과세관청의 견해 표명이 있었는지에 대한 입증의 중요성
- 가산세 부과처분의 적법성을 위한 요건 충족의 중요성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