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에 해당하는 법률행위가 언제 있었는가는 실제로 그러한 사해행위가 이루어진 날을 표준으로 판정함 [의정부지방법원 2022. 11. 18. 2021가합58691]
“`html
국세 징수 관련 사해행위 취소 소송 판례
의정부지방법원에서 진행된 사해행위취소 소송 판례를 정리합니다. 이 판례는 국세 징수와 관련된 사해행위의 성립 시점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1. 사건 개요
원고는 대한민국, 피고는 박○○으로, 사해행위취소 소송이 진행되었습니다.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법률행위가 실제로 이루어진 날을 표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사건번호: 의정부지방법원 2021가합
- 사건명: 사해행위취소
- 판결일: 2022.11.18.
2. 주요 쟁점
2.1. 사해행위 성립 시점
사해행위가 언제 이루어졌는가는 매우 중요한 쟁점입니다. 재판부는 등기부상 등기원인일자를 중심으로 사해행위의 실제 성립 여부를 판단했습니다.
2.2. 피보전채권의 성립
이 사건에서는 양도소득세 채권이 사해행위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재판부는 국세기본법 제21조 제3항 제2호에 따라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에 채권이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3. 판결 내용
3.1. 주문
- 피고와 AA 사이에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에 관하여 2020. 7. 23. 체결된 증여계약을 취소한다.
- 피고는 AA에게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에 관하여 BB지방법원 BB등기소 2020. 8. 19. 접수 제84645호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2. 이유
재판부는 AA가 피고에게 부동산을 증여한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A의 채무초과 상태를 심화시켰고, 피고는 악의로 추정된다고 보았습니다.
4.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국세 징수 관련 사해행위의 판단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며, 등기부상 등기원인일자를 중심으로 사해행위 성립 여부를 판단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는 관련 소송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