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5. 24. 2017가단5225698]
“`html
국세징수법 위반 사해행위 취소 판례
사건 개요
data-ke-size=”size16″>원고: 대한민국, 피고: 구AA
사건번호: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가단5225698
판결일자: 2018. 05. 24.
관련 법령: 국세징수법 제30조
판결 요지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수익자의 악의는 추정되므로, 수익자는 자신의 선의를 증명해야 합니다. 미성년자라는 사실만으로는 위 추정을 뒤집고 선의로 인정하기에 부족합니다.
상세 내용
1. 사실관계
구AA는 2015년 2월 24일 부동산 양도 후 양도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아 2016년 7월 1일 722,249,750원의 양도소득세 납부 고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납부하지 않아 2017년 11월 29일 기준 876,173,740원의 국세가 체납되었습니다. 구AA는 2016년 7월 14일 손자인 피고에게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을 증여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구AA는 부동산 증여 당시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습니다.
2. 원고와 피고의 주장
원고는 구AA의 부동산 증여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피고는 부동산 증여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며 선의의 수익자라고 주장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
법원은 구AA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부동산을 피고에게 증여한 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사해행위 취소소송에서 수익자의 악의를 추정하며, 피고가 미성년자라는 사실만으로는 선의임을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구AA와 피고 사이의 증여계약을 취소하고, 피고에게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의무를 부과했습니다.
4. 판결 주문
- 구AA와 피고 사이에 체결된 증여계약 취소
- 피고는 구AA에게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