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국세징수법상 채권자취소소송 제척기간 관련 판례
1. 사건 개요
본 판례는 국세징수법상 채권자취소소송의 제척기간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원고는 대한민국, 피고는 AAA이며, 2020가단25379 사해행위취소 소송입니다. 소장 청구취지에 별지 1 기재 부동산에 관한 내용만 기재되어 있었으나, 추후 보정서를 통해 별지 2 기재 부동산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보정서 제출 시점이 제소기간(채권자취소의 소 제척기간) 준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2. 주요 쟁점
2.1. 제소기간 기산점
채권자취소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내에 제기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취소원인을 안 날’은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사해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날을 의미합니다.
2.2. 소 변경 및 제척기간
목적물의 일부에 대한 법률행위의 취소를 청구하여 제척기간을 준수하였더라도, 기간 경과 후 청구취지를 확장하여 추가된 부분에 대해서는 제척기간을 준수한 것으로 볼 수 없습니다.
2.3. 국세청의 인식 기준
국가가 조세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경우, 제척기간의 기산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세채권의 추심 및 보전 업무를 담당하는 세무공무원의 인식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세무공무원이 사해행위의 존재와 채무자의 사해의사까지 인식한 때에는 국가도 그 시점에 취소원인을 알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사실관계 및 법원의 판단
3.1. 사실관계
- 2016년 9월 8일, BBB은 피고에게 별지 2 기재 부동산을 증여(소유권이전등기 완료)
- BBB은 별지 1 기재 부동산도 피고에게 증여
- BBB은 2019년 11월 11일 파산선고
- 원고(대한민국)는 2020년 11월 26일 소 제기 (별지 1 기재 부동산에 대한 취소만 청구)
- 원고는 2021년 3월 16일 보정서 제출 (별지 2 기재 부동산에 대한 취소 및 가액배상 청구 추가)
- 서울지방국세청은 2020년 2월경 BBB의 증여 사실을 인지
3.2.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가 별지 2 기재 부동산에 대한 취소 및 가액배상을 구하는 소를 제기한 시점(2021년 3월 16일, 보정서 제출일)을 기준으로 제척기간 준수 여부를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늦어도 2020년 2월경에는 원고의 세무공무원이 BBB의 부동산 증여 사실을 인지하였고, 파산 사실도 그 이전에 알았으므로, 이 시점에 사해행위 및 사해의사를 모두 알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보정서 제출에 따른 별지 2 기재 부동산 관련 청구는 제척기간(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을 도과하여 부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이 사건 소를 각하했습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