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거래와 다른 허위 등기를 한 경우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함 [대전고등법원 2016. 12. 15. 2016누12323]
“`html
양도소득세 포탈과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
허위 등기를 통한 양도소득세 포탈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여, 국세 부과 제척 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1. 사건 개요
대전고등법원 2016누12323 판례는 양도 실제 거래와 다른 허위 등기를 한 경우,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는 국세 부과의 제척 기간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제시합니다.
원고는 2004년 부동산을 매도했지만, 양도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고 허위의 증여 계약을 통해 세금을 회피하려 했습니다. 피고는 이를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보고 10년의 부과 제척 기간을 적용하여 과세 처분을 했습니다.
2. 주요 쟁점
본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의 해당 여부
단순히 세법상 신고를 하지 않거나 허위 신고를 하는 것만으로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허위 계약서 작성 등 적극적인 은닉 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됩니다.
2.2. 부과 제척 기간
일반적으로 국세는 부과할 수 있는 날로부터 5년의 기간이 만료되면 부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국세를 포탈한 경우에는 10년간 부과할 수 있습니다.
3. 판결 내용
재판부는 원고의 행위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허위의 증여 계약서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한 행위는 적극적인 조세 회피 행위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10년의 부과 제척 기간을 적용하여 피고의 과세 처분이 적법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판례는 양도소득세 포탈을 위해 허위 등기를 하는 행위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세금 회피를 목적으로 허위의 행위를 하는 경우, 더 엄격한 법적 책임을 져야 함을 의미합니다.
납세자들은 세법을 준수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부정한 방법으로 세금을 회피하려 한다면, 10년의 부과 제척 기간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