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는 타직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농업에 상시 종사한 것으로 보기 어려움 [의정부지방법원 2016. 12. 7. 2016구단5417]
“`html
농지 양도소득세 감면 관련 판례
본 판례는 농지 양도소득세 감면과 관련된 사건으로, 원고가 농지 대토 후 실제 농업에 상시 종사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사건 개요
원고는 농지 양도 후 다른 농지를 취득하여 양도소득세 감면을 신청했지만, 피고는 원고가 실제 농업에 상시 종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감면을 거부하고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주요 쟁점
1. 농지 양도소득세 감면 요건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70조 제1항에 따르면, 농지 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3년 이상 종전 농지 소재지에 거주하며 직접 경작할 것
- 종전 농지 양도일로부터 1년 내에 다른 농지를 취득할 것
- 3년 이상 새로운 농지 소재지에 거주하며 경작할 것
- 새로 취득하는 농지의 면적이 양도하는 농지의 면적의 1/2 이상이거나 그 가액이 양도하는 농지의 가액의 1/3 이상일 것
여기서 ‘직접 경작’이란, 해당 농지에서 농작물 경작 또는 다년생 식물 재배에 상시 종사하거나 농작업의 1/2 이상을 자기의 노동력으로 경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원고의 농업 종사 여부
재판부는 원고가 개인택시업에 종사했고, 대토농지에 대한 출입 횟수가 적었으며, 벼 도정확인서 외에 벼의 처분과 관련된 객관적인 자료를 제출하지 못한 점 등을 근거로 원고가 농업에 상시 종사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 내용
재판부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을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결론
본 판례는 농지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한 ‘직접 경작’ 요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단순히 농지를 소유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제 농업에 상시 종사했음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