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금액은 쟁점매입처에 귀속되었으므로 기타사외유출로 소득처분하여야 한다는 원고주장의 당부 [대구고등법원 2023. 3. 10. 2022누4821]
종합소득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쟁점 매입처 귀속 여부
1. 사건 개요
본 판례는, 법인이 가공의 매입비용을 계상하고 외부로 유출한 경우, 해당 금액이 특정 귀속 주체 없이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 대표자에게 소득 처분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룬 대구고등법원 2022누4821 판결입니다.
2. 주요 쟁점
본 사건의 핵심 쟁점은, 가공의 매입비용이 쟁점 매입처에 귀속되었는지, 아니면 귀속이 불분명하여 대표자에게 소득 처분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3. 사실관계
사건의 원고는 3D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설계 및 컨설팅업을 영위하던 법인의 대표이사였습니다. 원고는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 및 수취를 통해 매출 실적을 부풀리는 순환 가공 거래를 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차액의 귀속 주체를 두고 다툼이 발생했습니다.
4. 법원의 판단
4.1. 사외유출 자산의 존재와 범위
법원은,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 및 수취를 통해 이 사건 회사의 자산이 감소하였고, 이는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유출된 금액은 0원으로 특정되었습니다.
4.2. 사외유출액의 귀속 여부
법원은, 원고가 주장하는 쟁점 매입처(CC)에 해당 금액이 귀속되었다는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① 순환 가공 거래의 목적과 실제 입출금 내역의 불일치, ② 거래의 형식성, ③ 송금 내역의 특이성, ④ CC에 귀속되었다는 증거 부족, ⑤ 회계 장부의 허위성, ⑥ 관련 과세 자료 부재, ⑦ CC에 대한 반환 청구 미비 등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따라서 사외유출된 금액의 귀속이 불분명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4.3. 결론
법원은, 사외유출된 금액의 귀속이 불분명하므로, 법인세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원고에게 소득 처분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판단하고,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5. 판결의 의의
본 판결은, 법인의 부당 행위를 방지하고 조세 공평을 실현하기 위한 법인세법의 취지를 강조하며, 사외유출된 소득의 귀속에 대한 입증 책임을 납세의무자에게 부여했습니다. 또한, 가공 거래의 실질을 파악하여 소득 처분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