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현금 증여는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협의의 이행으로 볼 수 없으므로, 사해행위 취소 대상이 됨 [서울고등법원 2020. 12. 9. 2020나2014329]
“`html
국세징수법 위반 관련 판례 정리
본 판례는 이혼에 따른 현금 증여가 사해행위 취소 대상이 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국세청의 조세 채무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증여가 재산분할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해행위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1. 사건 개요
본 사건은 서울고등법원 2020나2014329 판례로, 국세징수법 제30조를 위반한 혐의로 제기되었습니다. 2016년 이루어진 현금 증여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 협의의 이행으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사해행위 취소 대상이 되는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원고는 대한민국, 피고는 김AA이며, 2020년 12월 9일에 2심 판결이 완료되었습니다.
2. 쟁점 및 판결 요지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금 증여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
-
채무초과 상태에서 이루어진 증여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 요지는 이 사건 현금 증여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 협의의 이행으로 볼 수 없으며, 채무초과 상태에서 이루어진 증여이므로 취소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주요 판단 근거
3.1. 재산분할의 범위를 벗어난 증여
법원은 김BB가 피고에게 증여한 행위가 재산분할의 상당한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했습니다. 김BB의 순재산이 피고보다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김BB가 부동산 소유권을 이전하고 현금을 지급한 점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증여는 이혼 소송에서의 일반적인 위자료 액수를 고려하더라도 사해행위 취소 대상이 된다고 판시했습니다.
3.2. 사해행위 성립 여부
법원은 김BB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증여를 함으로써 사해행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김BB가 증여를 통해 채무초과 상태를 심화시켰고, 이는 채권자들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
3.3. 합의서의 효력과 증여의 시점
피고는 2016년 8월 20일 작성된 이혼위자료 지급합의서를 근거로 증여가 재산분할의 일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혼 의사 확인 신청 시기, 현금 지급 시기 등을 고려하여 증여가 합의서의 이행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수서동 아파트의 소유권 이전이 2016년 10월 11일에 이루어진 점도 증여의 시점을 특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습니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판례는 이혼 시 재산분할 협의의 적정성을 강조하며, 조세 채무를 회피하기 위한 증여는 사해행위로 간주될 수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채무초과 상태에서 이루어진 증여는 채권자들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로, 취소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재산분할은 합리적인 기준과 상당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과도한 증여는 법적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