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1/2이상의 노동력을 들여 농지로써 8년 이상 경작하였는지 여부 [의정부지방법원 2020. 11. 9. 2019구단7322]
“`html
농지 자경 요건 불충족으로 인한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
본 판례는 양도소득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에 관한 내용으로, 원고가 8년 이상 농지를 자경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의정부지방법원은 원고가 농지 자경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1. 사건 개요
원고는 구리시 갈매동 및 남양주시 이패동 소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전체 부동산’)을 양도하고 자경농지 감면 및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적용하여 양도소득세를 신고했습니다. 그러나 피고(AA세무서장)는 원고가 직접 경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경농지 감면을 배제하고, 일부 토지를 비사업용 토지로 보아 장기보유 특별공제 적용을 배제하여 양도소득세를 경정, 부과했습니다.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2. 원고의 주장
원고는 8년 이상 전체 쟁점토지를 직접 경작했다는 점을 주장하며, 자경농지 감면 및 장기보유 특별공제 적용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농지원부, 경작사실확인서, 농자재 구매내역, 군자란 판매내역 등을 증거로 제시하며, 쟁점3토지의 경우에도 실제 농지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3. 피고의 주장
피고는 원고가 직접 경작하지 않았으며, 쟁점3토지가 실제 농지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이 사건 처분이 적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피고는 원고가 고용한 인부를 통해 영농 작업을 수행했고, 쟁점3토지가 운동장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4. 법원의 판단
4.1. 자경 요건 판단
법원은 원고가 이 사건 전체 부동산뿐만 아니라 다수의 토지를 매수 및 매도한 점, 쟁점 토지의 규모, 군자란 재배 하우스 인수 시 인부 4명을 함께 고용한 점 등을 고려하여 원고가 직접 경작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설령 경작에 관여했더라도 이는 인부를 고용하여 주도적으로 일을 시키는 형식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4.2. 쟁점3토지 관련 판단
법원은 쟁점3토지에서 잔디 판매 관련 구체적인 자료가 부족하고, 원고가 해외 체류 기간이 길었다는 점을 들어 자경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4.3. 결론
법원은 원고가 직접 또는 1/2 이상의 노동력을 들여 전체 쟁점토지를 농지로 8년 이상 경작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자경농지 감면 및 장기보유 특별공제 적용을 배제한 피고의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5. 판결의 의미
본 판례는 농지 자경 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경작 행위, 노동 투입 정도, 해외 체류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농지 자경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토지를 소유하는 것 외에 실제로 직접 경작에 참여하고, 그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