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판결) 허위 세금계산서가 사기기타 부정한 행위로 장기부과제척기간 적용대상인지 [부산고등법원 2023. 4. 14. 2022누21719]
“`html
허위 세금계산서 관련 법인세 부과, 장기 부과 제척 기간 적용 여부
본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 수취 및 허위 인건비 지급을 통한 법인세 허위 신고 행위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국세부과 제척기간과 관련된 중요한 법리적 판단을 제시하며, 특히 조세 포탈 의도가 없었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집중적으로 검토합니다.
사건 개요
본 사건은 원고인 000 주식회사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법인세 부과 처분 및 소득금액변동통지 처분에 불복하여 제기한 소송입니다. 원고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수취하고, 존재하지 않는 인건비를 지급한 것처럼 증빙자료를 조작하여 법인세를 허위로 신고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1심에서 패소한 원고는 항소를 제기했지만, 항소심에서도 기각되었습니다.
판결 요지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수취, 허위 인건비 지급은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법원은 원고의 행위가 단순히 세법상 신고 누락이 아닌, 적극적인 조작 행위를 수반했으므로 10년의 장기 부과 제척 기간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상세 내용
1. 원고의 주장
원고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10년의 부과 제척 기간 적용을 부인했습니다.
- 동종 업체와의 담합이 없었다는 점
- 세무서가 단순 서면 확인만으로도 과소 신고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 조세 포탈의 의도가 없었고, 국가 조세 수입 감소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는 점
2.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다음과 같은 근거로 기각했습니다.
- 허위 세금계산서 조작 및 인건비 허위 지급은 조세 부과를 곤란하게 하는 적극적인 행위
- 원고가 법인세 포탈로 인한 국가 조세 수입 감소를 충분히 인식했다고 판단
3. 관련 법리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은 조세 부과의 제척 기간을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가 있는 경우 10년의 제척 기간을 적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 조항의 취지를 고려하여, 조세 포탈을 위한 적극적인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했습니다.
4. 결론
항소심 법원은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 허위 인건비 계상 등 적극적인 조작 행위가 조세 포탈의 의도가 없었더라도 장기 부과 제척 기간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참고 자료
본 판례는 국세 부과 제척 기간,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 법인세, 세금계산서, 인건비 등 관련 조세 법규 해석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조세 포탈 의도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과 적극적인 조작 행위의 범위를 제시하여 관련 사건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