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심행위가 적법한지 여부 [인천지방법원 2018. 1. 12. 2017가단231125]
“`html
국세징수법상 채권 압류 및 추심의 적법성: 주식회사 ○○실업 대상 추심금 소송 판례 분석
본 판례는 국세징수법에 따른 채권 압류 및 추심 절차의 적법성 여부를 다룬 사건으로, 세무서의 채권 압류 및 추심 행위가 정당한지, 그리고 피압류 채무자가 채무를 변제해야 할 의무가 있는지를 주요 쟁점으로 다룹니다. 이 판례를 통해 국세징수법 제41조의 해석 및 적용, 그리고 채권 압류의 효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번호: 2017가단231125 (추심금)
원고: 대한민국
피고: 주식회사 ○○실업
1심 판결: 인천지방법원, 2018년 1월 12일 선고
주요 쟁점: 국세 체납에 따른 채권 압류 및 추심의 적법성, 피압류 채무자의 변제 의무
사실관계
체납 국세 발생
주식회사 ㅁㅁ이앤씨(소외 회사)는 2017년 3월경 부가가치세, 근로소득세, 법인세 등 총 221,863,620원을 체납했습니다.
채권 압류 및 압류 통지
원고 산하 북인천세무서장은 소외 회사의 체납 국세 채권을 확보하기 위해, 소외 회사가 피고에게 가지고 있는 매출채권 중 체납액에 해당하는 부분을 압류했습니다. 압류 통지는 2017년 3월 14일 피고에게 발송되었고, 2017년 3월 16일 도달했습니다.
채권 발생
소외 회사는 압류 통지 당시 피고에 대해 1억 3,200만 원의 쓰레기처리 및 현장관리 용역대금 채권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법원 판결
주문
- 피고는 원고에게 132,000,000원 및 이에 대한 2017년 8월 5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5%의 비율에 의한 금액을 지급하라.
-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 제1항은 가집행할 수 있다.
판단 근거
법원은 국세징수법 제41조 제2항에 근거하여 세무서장이 채권을 압류하고 채무자에게 압류 통지를 함으로써 채권자를 대위하게 되는 경우, 세무서장은 채권의 추심권을 취득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압류 채무자는 이행기가 도래하면 대위채권자인 국가(세무서장)에게 채무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
고 판시했습니다.
피고는 압류 통지 이후 소외 회사에 채무를 변제했으나, 법원은 이러한 변제가 원고의 청구를 저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판례는 국세징수법에 따른 채권 압류 및 추심 절차의 적법성을 확인하고, 피압류 채무자의 변제 의무를 명확히 했습니다.
세무서의 압류 통지 후 피압류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변제하는 행위는 압류의 효력을 무효화할 수 없다
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판례는 국세 체납 관련 채권 압류 및 추심 절차의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분쟁 발생 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선례를 제시합니다.
“`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