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처분액(횡령금) 반환시 과세여부 [서울행정법원 2020. 2. 25. 2019구합58124]
종소 소득처분액(횡령금) 반환시 과세여부
서울행정법원 2019구합58124 판결은 종소 소득처분액(횡령금) 반환시 과세 여부에 대한 중요한 판단을 담고 있습니다. 본 판결은 국세기본법, 법인세법 등 관련 법령을 심도 있게 검토하여 과세 처분의 적법성을 판단했습니다.
사건 개요
원고는 경영컨설팅업 사업자로서, 이 사건 회사들로부터 상표권 등 사용료 명목으로 금원을 지급받고 사업소득으로 신고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세무당국은 해당 사용료를 손금불산입하고 원고의 기타소득 및 배당소득으로 소득처분하여 종합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사항
- 횡령금 일부를 반환한 경우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지 여부
- 종합소득세 부과처분의 제척기간 도과 여부
- 가산세 부과의 적법성 여부
법원의 판단
횡령금 반환과 과세 여부
법원은 원고가 횡령금 중 일부를 공탁 방식으로 반환한 것은
세무조사결과통지 전 자발적인 노력에 따른 회수로 볼 수 없다
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미 성립한 소득세 납세의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부과제척기간 도과 여부
법원은 원고의 행위가
사기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법인세를 포탈
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국세기본법 개정규정에 따라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므로, 이 사건 처분은 제척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보았습니다.
가산세 부과의 적법성
법원은 원고가
적극적인 방법으로 횡령금을 사업소득으로 신고하고 가공의 필요경비를 산입하여 과소신고
한 점을 고려하여 가산세 부과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의 의의
본 판결은 횡령금에 대한 소득처분 및 과세, 부과제척기간, 가산세 부과 등 세법상 중요한 쟁점에 대한 판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횡령금 반환이 과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관련 법령
-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국세부과의 제척기간)
- 국세기본법 제47조의3 (과소신고가산세)
- 국세기본법 제48조 (가산세 감면)
- 법인세법 제67조 (소득처분)
전문 확인하기
👇클릭하여 판례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출처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세한 법률정보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